•  
  •  
  •  
  •  
  •  
  •  
  •  
  •  
  •  
  •  
분류
Horollo
파일:호롤ㄹ프사.jpg
프로필 사진이 수시로 변경된다.
팔로잉
109명[기준]
팔로워
406명[기준]
스태프 선정
인기 작품
링크

1. 개요2. 활동3. 대표 작품
3.1. 탈모 호롤로와 함께 알아보자
4. 부계정5. 기타

1. 개요 [편집]

코딩 교육 플랫폼 엔트리의 유저.

2. 활동 [편집]

  • 보통 엔트리 이야기에서 활동한다. 엔트리 이야기에 지박령 수준으로 오래 접속해 있으며 엔트리이야기 게시글 개수도 11000개 이상으로 많은 편이다.
  • 엔트리 이야기에서는 보통 기상정보 혹은 지진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일상적인 글이나 별 의미없는 글 등을 적기도 한다. 가끔은 그 10개가 넘는 부계정들을 다 들고와서 뻘짓을 하기도 한다
  • 작품 활동으로는 그다지 유명한 편은 아니다. 최근에는 영상을 작품으로 변환한 작품과 직접 만든 작품이 거의 반으로 나늰다.

3. 대표 작품 [편집]

  • 지진동 계산기[인작]
    Horollo의 정상적인 첫 번째 인작. 초기에는 기본 오브젝트만을 이용한 단순한 디자인이었으나 수정을 거듭하며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 豊後水道
    실시간 리스트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실시간 채팅방. 과거에는 실시간 리스트의 상태가 자주 불안정해져 확인용으로 자주 사용되었으나 실시간 리스트 서버 자동 재시작 업데이트로 불안정해지는 일이 적어지다 보니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제목인 豊後水道(분고수도)는 일본의 규슈와 시코쿠 사이에 있는 해역을 가리킨다.
  • 도도부현 랜덤 뽑기
    단순한 작품이지만 엔이 초반기에 Horollo가 열심히 홍보를 한 작품이라서 좋아요가 많다.
  • 릭롤 노동요
    릭 애스틀리의 Never gonna give you up을 반복해서 재생하는 프로그램이다.
  • 랜덤 웨일스어 단어 생성기
    웨일스어 공부용으로 만들어진 작품으로 아무 웨일스어 단어나 뽑아준다. 현재는 단어 추가가 되지 않고 있다.
  • 오늘의 오봉저수지 저수율[인작]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의 대표 수자원 공급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을 보여주는 작품. 과거 강릉 가뭄이 심각한 상황일 때는 수시로 업데이트되었으나 현재는 상황이 많이 나아져 갱신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이다.[9]
  • 밝은 혜성 목록[인작]
    6개월 내로 쌍안경 혹은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밝아질 것으로 추정되는 혜성들을 모은 작품으로 사실상 갱신이 중단된 상태이다.
  • 동일본 대지진
    호롤로의 최초 지진 보도 관련 작품. 2011년 3월 11일의 그 동일본 대지진 맞다.
  • 미국의 언어들
    원을 클릭하면 그 지역에서 쓰는 미국 원주민 언어로 된 인삿말을 보여준다. 미완성 작품이지만 Horollo가 첫 번째 엔트리 이야기 글에서 홍보를 했기 때문에 가끔 좋아요나 댓글이 달린다.
  • 지진 시뮬레이터[인작]
    일본의 6개 지역[13]을 대상으로 지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작품이다. 좋아요가 많지는 않으나 인작에 올랐다.
  • 안아줘요
    부계정으로 게시한 작품. Horollo의 부계정들이 올린 작품들 중 좋아요가 가장 많다. 작품은 단순히 안아줘요를 꾹 눌러서 안아주는 것이 끝이다.
  • 비공개 작품
    • 茨城県[14][인작]: '좋아요 마이너스 인작'으로 잘 알려진 작품. 원래는 좋아요가 마이너스라는 것 빼면 벌 것 없는 작품이었으나 3월 9일 인기 작품에 선정된 후 3월 10일에 운영자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기타' 단락 참고.
    • 오늘의 최고기온 극값: 제목 그대로 최고기온 극값을 보여준다. 오봉저수지 저수율 작품과 같이 수동 업데이트이다. 2025년 7월 대한민국에 40도[16]를 웃도는 폭염이 찾아왔을 당시에 잠깐 공개되었던 작품으로 현재는 특별히 의미가 없어져 비공개 처리되었다.
    • 이 외에 엔트리 의식 사전, exp 함수 테스트, 임시 진도 계산기 등이 공개되었다가 비공개로 전환되었다. 전부 별다른 내용이 없거나 별로 쓸모가 없어 비공개되었다.

3.1. 탈모 호롤로와 함께 알아보자[21] [편집]

잡다한 상식을 알려주는 작품 시리즈. 유저들로부터 주제를 추천받기도 한다.
  • 1편 난카이 해곡과 그 해곡에서의 대지진에 관한 작품.
  • 2편 일본의 해구, 해곡에 대해 다루는 작품.
  • 3편 엔트리 내에서 엄미대도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는 '아마미 오시마(奄美大島)'에 관한 작품.[17]
  • 4편 엔트리 유저 닉네임에 종종 쓰이는 특수문자 ꧁꧂에 대해 다루는 작품.
  • 5편 태풍의 형성 과정과 올해 한국에 태풍의 직접적 영향이 없었던 이유에 대해 다루는 작품.[18]
  • √31편 Horollo의 잠깐의 휴트리와 복귀일정을 알리는 작품으로, 탈모 호롤로 시리즈의 제목을 달고 있지만 해당 시리즈라기보다는 그냥 개별 작품이다.[19] 참고로 해당 작품은 호롤로의 부계정인 '다케타 신이치'가 Horollo의 계정을 탈취하여 만들었다는 컨셉이 있다. 안아줘요는 옆에서 지켜봤다고 한다
  • 6편 동일본 대지진의 특징과 대략적인 발생 메커니즘, 그리고 지진 동결[20]과 대지진 활동의 연관성을 다룬 작품이다.
  • 7편 10월 19일부터 시작된 기온 하락에 대한 설명.
  • √58편 호롤로가 M자탈모인 이유를 설명해주는 작품. 이번에도 말하는 이는 다케타 신이치로 설정되어 있다.
  • 8편 10월 일본의 지진 활동을 다루는 작품.
  • √77편 주제추천 받는 작품

4. 부계정 [편집]

부계정 포함 계정 개수는 총 15개이며, 전부 임시 이메일을 사용하였다.

5. 기타 [편집]

  • 이 유저가 지진 속보 글을 올릴 때 사용하는 앱은 EQmonitor과 강진모니터 등이며[27] 템플릿은 다음과 같다.
    [지진속보] 진원지: 진원지명 / 추정규모: 추정규모 / 예상최대진도: 예상최대진도[28]
    • 대부분의 지진속보의 경우 후지이 카츠노리 계정으로 올라가지만, 국내의 지진정보나 지진속보는 신속성을 위해 Horollo가 지진 알림을 받았을 때 사용하고 있던 계정으로 게시한다.
    • 게시하는 대부분의 지진속보는 일본의 지진속보로 예상최대진도가 일본 기상청 진도로 3이 넘어가는 경우다. 지진속보나 지진정보를 게시하는 다른 경우 여기에 나와있다.
  • 과거 콘솔을 이용해 좋아요 개수가 -273개까지 떨어져 있는 작품을 가지고 있었다. 해당 작품은 엔트리 시스템상의 버그로 인해서인지 3월 9일 인기 작품에 선정되었고 선정 다음 날 오전에 블라인드 처리되었다.[29]
  • 이 유저가 작성한 최초의 엔트리 이야기 글은 이것이다. 댓글이 전부 성지순례밖에 없다.
  • 노하우&팁 게시판에 글을 2개[30] 올린 적이 있으나 주제가 각각 '클린봇 검열 뚫는 법', '댓글 마이너스 만드는 법'으로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에 어긋난다고 판단되었는지 운영자 측에서 블라인드 처리하였다.
  • 작품에 릭롤이 4개나 있다. 예전에는 이들 작품으로 릭롤링을 하였지만 현재는 릭롤 전용 부계정을 파놓은지라 그 부계정의 작품을 더 자주 사용한다.[31]
  • Horollo가 게시하는 지진 관련 영상은 주로 니코니코 동화나 빌리빌리를 통해 가져온다.[32]
  • 엔트리 이야기 활동 초기에는 존댓말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반말의 사용 빈도가 늘어났다.
  • 부계정이 각자 다른 성격을 가진 개별 인물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기준] 1.1 1.2 1.3 1.4 2025.10.12[5] 비공개 작품 포함. 과거 좋아요 개수 마이너스로 인기 작품에 오른 작품이 있었으나 현재 블라인드 처리되어 볼 수 없다.[6] 계정이 여러 개다. 부계정 단락 참고.[인작] 7.1 7.2 7.3 7.4 7.5 [인작] 7.1 7.2 7.3 7.4 7.5 [9] 참고로 이 작품의 후계자(?) 격인 리메이크 작품이 있다. 리메이크 작품은 현재도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는 듯 보인다.[인작] 7.1 7.2 7.3 7.4 7.5 [11] 참고로 이 작품에 달린 댓글들은 1개 빼고 모두 엔트리 이야기에서 유입된 유저들의 댓글이다.[인작] 7.1 7.2 7.3 7.4 7.5 [13] 간토, 도호쿠, 간사이(긴키, 도카이, 고신, 호쿠리쿠, 시코쿠, 주고쿠), 호쿠리쿠, 규슈, 오키나와/엄미군도[14] '이바라키현'을 한자로 쓴 것이다.[인작] 7.1 7.2 7.3 7.4 7.5 [16] 참고로 폭염이 극에 달했던 7월 27일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서 41.6도가 기록되었으나 비공식 기록으로 남아 있다.[17] 참고로 아마미오시마는 원래 평범한 섬이지만 최근 엔트리 이야기에서 해당 섬의 이름을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엄미대도' 드립이 유행(?)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어떻게 섬 이름이 엄미대도' 혹은 '엄'을 말하면 댓글로 '미'를 말하고 '대', '도'까지 이어서 '엄미대도'를 완성하는 등 엄준식 드립과 상당히 유사하다.[18] 참고로 간접영향까지 포함하면 8월 초에 7호 태풍 꼬마이가 온대저기압 상태로 수도권을 통과하면서 비를 뿌린 적이 있다.[19] 이것 외에도 시리즈 번호가 자연수가 아닌 경우 탈모 호롤로 시리즈의 작품이 아니라고 보면 된다.[20] 지진활동이 활발하던 곳에서 지진 활동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비슷한 뜻의 보다 전문적인 용어로는 '지진 공백'이 있다. 다만 엔트리 이야기에서 드립성으로 나오는 '지진 동결'은 주로 일본 전역에서 지진활동이 줄어드는 경우를 의미하지만, '지진 공백'의 경우 특정 판 경계 혹은 단층 영역에서만 지진활동이 줄어드는 것을 말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완전히 일치하는 단어는 아니다.[21] 시리즈 이름인 '탈모 호롤로와 함께 알아보자'는 1편 작품 썸네일에 적혀 있는 문구에서 유래하였다. 이 시리즈를 제작할 당시에는 별다른 제목은 계획되어있지 않았다.[22] Horollo가 만든 최초의 부계정. 과거에는 지진속보도 이 계정으로 하였다.[23] 원래 임시 이메일 테스트 계정이었다.[24] 해당 계정은 현재 사용되는 Horollo의 본계정 및 부계정만을 모두 팔로우해놓은 계정이다.[25] 배지 생성을 위한 선생님 계정.[26] 계정 아이디의 앞자리가 69로 바뀌는 순간 계정을 생성하여 69000000... 형식의 계정 링크를 얻으려고 하였으나 딜레이로 인해 69000001...이 되었다. 참고로 계정 아이디의 앞 여덟 자리는 계정 생성 시간을 유닉스 시간으로 16진수로 나타낸 것이며 69000000에 대응하는 시간은 2025년 10월 28일 8시 28분 0초이다.[27] 전부 일본 지진 앱이다. 한국의 지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진체크' 앱도 사용하고, 일본의 긴급지진속보 송출 지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P2P 지진정보 앱도 사용하며, 세계의 지진을 확인할 때는 특정 앱과 USGS 사이트, GFZ 사이트, tsunami.gov 사이트를 같이 사용한다.[28] 원래 특별한 템플릿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언젠가부터 템플릿이 생겼다.[29] 참고로 해당 작품은 원래 좋아요 마이너스를 만들기 위한 작품이 아니었으며, 엔트리봇을 길게 늘려 3개의 시곗바늘을 만든 후 그것들을 이용해 현재 시간을 표시해주는 프로그램이었다.[30] 하나는 본계정으로, 다른 하나는 식객민우 계정으로 올린 것이다.[31] 또한 작품 중 2개에는 소리가 없어 릭롤링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32] 물론 이들보다 더 잘 알려진 유튜브에서도 종종 가져오지만 유튜브의 경우 NHK 측에서 영상을 날려버리는 경우가 잦기 때문에 남아있는 영상이 많지 않다고 한다.